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 아자 시작합니다.<br> <br>정치부 이현재 기자, 경제산업부 정현우 기자가 함께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Q1. 대체 어떤 일이 벌어진 거에요? <br><br>그제로 돌아가보죠. <br> <br>10월 1일 밤 9시,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우리 대표팀이 중국과 맞붙습니다. <br> <br>이때 우리나라 포털 다음과 네이버에선 실시간 응원 페이지가 운영되고 있었는데요. <br> <br>이 페이지에서 누리꾼들이 응원 버튼을 누르고 댓글도 쓸 수 있습니다. <br> <br>문제는 이때 다음에서만 중국을 응원하는 클릭 응원이 약 2천만 건, 전체의 92%에 달했습니다. <br> <br>또 다른 포털인 네이버에선 전체의 94%가 우리나라를 응원했습니다.<br> <br>Q2. 이상하긴 하죠. 중국을 응원하는 클릭이 2천만 건이라는 게. 그래서 국민의힘은 누가, 왜 이런 일을 벌였다고 생각하는거죠? <br><br>한중전에서 벌어진 일이다보니 일단 중국을 의심하고 있는데요, <br> <br>중국 본토에 사는 중국인이나 국내에 거주하는 중국 동포 또는 북한 개입 가능성까지 거론합니다. <br> <br>국민의힘 포털TF는 중국과 북한의 여론 개입 의혹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며 2020년 총선을 앞두고 일각에서 제기됐던 '차이나 게이트'까지 재소환했습니다. <br> <br>Q3. 그런데 다음과 네이버는 외국에서 접속이 안 된다면서요? <br><br>그래서 우회 접속을 의심하고 있는데요, <br> <br>중국에서 가상망인 VPN을 이용하면 한국IP로 우회 접속할 수 있다는 건데요. <br> <br>우회 접속이 아니라면 매크로 프로그램을 사용했을 가능성도 제기했습니다. <br> <br>컴퓨터가 일정한 작업을 자동으로 반복하게 하는 게 매크로인데요.<br><br>매크로를 돌리면 순식간에 중국 응원 버튼이 자동으로 눌러지거든요. <br> <br>국민의힘은 "정부가 다음을 우선 조사하고, 대규모 조작 정황이 드러나면 수사 의뢰도 할 수 있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Q4. 왜 다음 응원페이지에서만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요? <br><br>다음은 로그인 없이 아무나 무제한으로 응원 버튼을 누를 수 있었는데요. <br><br>한 명이 여러 번 누를 수 있는거죠. <br> <br>반면 네이버는 로그인을 해야만 응원과 댓글 작성이 가능했습니다. <br> <br>쉽게 말해 네이버보다 다음의 문턱이 훨씬 낮았던 건데요.<br> <br>포털은 이용자를 한 명이라도 더 확보하고, 1분 1초라도 더 머물게 하는 게 사업의 핵심입니다. <br> <br>다음이 스포츠 응원 페이지의 문턱을 낮춰놨던 것도 아시안게임과 같은 대목에 누리꾼들을 좀 더 불러모아 오래 머물게 하려던 의도로 봐야겠죠. <br> <br>Q5. 다음은 누구 소행으로 보고 있나요? <br><br>다음은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. <br> <br>누구 소행인지 알아보는 것 자체를 조심스러워 하는 분위기인데요. <br> <br>누리꾼이 장난을 친 건지 누군가가 매크로를 돌렸는지 아직 알 수 없는 상황인데 누가 이런 일을 벌였는지 알아보는 것만으로 정치권에서 또 다시 논란이 커질 수 있는 점을 부담스러워 하는 겁니다. <br> <br>Q6. 국민의힘이 왜 이렇게 민감하게 반응하는 겁니까? <br><br>'드루킹 보고 놀란 가슴 중국전 보고 놀랐다'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. <br> <br>그동안 여론 조작에 대한 심증만 있었는데, 이번 사건으로 실제 조작이 벌어지고 있다는 확신을 가졌다는 건데요, <br> <br>선거의 계절로 접어드는 예민한 상황에서 이런 일이 벌어졌다는 사실 자체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[박성중 / 국민의힘 의원] <br>"(특정 세력에 의해) 클릭 조작됐다 저희들은 그렇게 보고 있고. 강서구청장이나 앞으로 총선에도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그런 사안이기 때문에…" <br> <br>강서구청장 선거가 8일 앞으로 다가온 상황이라 지지층 결집을 노리고 강하게 반응한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Q7. 그래서 국민의힘이 앞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건가요? <br><br>일단 사건의 전말을 조사한다고 하고요. <br> <br>포털의 자정 작용, 사후 책임을 강화할 계획인데요, <br> <br>일단 다음처럼 로그인하지 않고 응원이나 댓글은 못하게 하는 안이 거론되고요. <br> <br>또 법안을 정비해 조작 행위가 있을 경우 포털 사업자도 처벌받게 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방통위 관계자는 해외 서버를 통한 우회 접속 차단도 과기정통부에 요청하겠다고 했고, 여당에서는 해외에서 댓글 달 경우 국적을 노출하는 안도 거론했습니다. <br> <br>Q8. 다음도 대책을 내놨습니까? <br><br>다음은 일단 응원 기능을 폐지하고 관계당국이 조사에 나설 경우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특정인이 접속을 과도하게 했는지 자체 진상파악도 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드루킹 사건처럼 매크로 프로그램을 활용해 여론을 조작한 일도 있었잖아요. <br> <br>매크로 사용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보안성 강화를 위한 노력이 부족했다는 비판만큼은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.<br /><br /><br />이현재 기자 guswo1321@ichannela.com<br />정현우 기자 edge@ichannela.com